소세포폐암 환우들의 치료 요정에 길잡이 되길
항암제 명가 보령, 국내 최초 소세포폐암 환자 가이드북 발간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폐암분과 의료진이 자문 및 감수 맡아 |
국내 소세포폐암 환자들의 치료 여정에 길라잡이가 될 최초의 환자 가이드북이 출간됐다.
보령은 지난 21일 서울 강남 조선팰리스 호텔에서 출판기념회를 열고, 국내 첫 소세포폐암 전문 안내 책자인 '의사선생님이 알려주는 소세포폐암 환자 가이드' 발간을 기념했다.
'의사선생님이 알려주는 소세포폐암 환자 가이드'는 소세포폐암 질환과 치료 과정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령이 제작했으며, 이날 행사에는 자문위원단으로 참여한 국내 폐암 전문 의료진과 한국폐암환우회 소속 회원들이 참석해 소세포폐암 환우의 어려움과 가이드북의 필요성, 감상 소감 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 책자는 국내 폐암 전문가로 구성된 대한항암요법연구회 폐암분과 의료진의 자문과 감수를 거쳐 완성됐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안진석 교수가 자문위원장을, 분당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김세현 교수와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김혜련 교수가 부위원장을 맡았으며, 자문위원으로는 박세훈 교수(삼성서울병원), 서정민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안희경 교수(삼성서울병원), 윤신교 교수(서울아산병원), 이기쁨 교수(연세암병원), 이서영 교수(강남세브란스암병원)가 참여했다.
이날 행사에서 책자 소개 맡은 김혜련 교수는 "소세포폐암은 전체 폐암 중 10~15% 정도밖에 되지 않아 비소세포폐암에 비해 제약회사의 신약 개발이나 연구 등이 부족할 수밖에 없다"며 "또한 인터넷 등에 퍼져 있는 잘못된 정보로 인해 환자분들께서는 진단부터 치료 과정에 걸쳐 정신적, 육체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 교수는 "공신력 있는 학회나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니즈(needs)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소세포폐암 환자를 위한 전문적인 가이드북은 찾아보기 어려웠다"며 "이번 가이드북에서는 폐암 전문 의료진이 실제 진료실에서 많이 받는 질문을 위주로 뽑아 환자분들과 보호자분들의 눈높이에 맞는 쉽고 정확한 설명을 담았다"고 말했다.
책자는 소세포폐암의 개념과 병기에 따른 치료 방법, 최신 연구 동향, 항암치료의 주의사항 및 관리 방법 등을 담았다. 현 시점에서 알려진 학술적 내용을 종합적이면서도 알기 쉽게 정리한 것이 특징이다.
한국폐암환우회 이희정 이사는 "소세포폐암은 질병에 대한 정보가 제한적이고 환자 수도 적기 때문에 커뮤니티 형성도 활발하지 않아 유튜브나 인터넷에 정보를 의존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또한 소세포폐암은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가 비교적 빠르고 생존률이 낮은 암으로 인식이 굳혀져 치료를 포기하는 환우도 종종 볼 수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이 이사는 "오늘 이 책자가 우리에게 주는 큰 의미는 소세포폐암이라는 질병에 대해 정확히 알고 치료 과정과 일상생활에서의 관리 방법을 이해함으로써, 환자들이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치료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게 도울 수 있다는 것"이라며 "이 책자가 소세포폐암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많은 환우들과 환자 가족들에게 희망과 강한 투병 의지를 불러일으키는 길라잡이가 돼 주기를 간절히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윤미 기자 kym@docdocdoc.co.kr
출처 :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6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