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여성 10명 중 9명 ‘비흡연자’…“국가검진으론 못 찾아” [쿠키인터뷰]


작성일:2024-10-07

폐암 여성 10명 중 9명 ‘비흡연자’…“국가검진으론 못 찾아” [쿠키인터뷰]

 

폐암은 국내 암 사망 원인 1위로 꼽힌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하루 약 85명의 환자가 폐암을 진단 받는다. 특히 여성 환자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최근 5년(2018년~2022년)사이 여성 폐암 환자는 40% 가까이 증가했다. 주목할 점은 여성 폐암 환자 10명 중 9명(87.5%)이 ‘비흡연자’라는 사실이다. 흡연자가 주로 폐암에 걸린다고 생각하는 인식과 달리, 비흡연자 역시 안전지대에 있는 것은 아니다. 

몇 년 전, 폐암으로 아내를 떠나보낸 조정일 한국폐암환우회 회장은 우리나라 국가건강검진의 사각지대가 얼마나 위험한 지 뼈저리게 깨달았다고 했다. 조기 검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가검진은 폐암을 발견하기 어려운 엑스레이(X-ray)만 제공하고, 컴퓨터단층촬영(CT) 같은 실질적 검사는 장기 흡연자에 한해 지원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 회장은 지난 2일 가진 쿠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아내는 비흡연자였으며 건강했고, 워낙 밝은 성격이라 오래 살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4년 전 엑스레이 촬영 결과 ‘작은 흔적은 있으나 의학적으로 의미 없다’이라는 소견을 받았다”고 말했다. 그로부터 2년 뒤 다시 검사를 받았을 땐 ‘더 정확한 결과를 알려면 정밀검사가 필요하다’는 소견이 있었지만 종합검진 결과가 정상이어서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조 회장은 “시간이 지나 검진을 받았는데, 그땐 이미 4기에 이르렀다는 결과를 받았다”고 했다. 조 회장은 너무 늦게 발견해 치료 기회를 놓쳤다는 사실을 두고두고 후회했다. 그는 “종합판정에 정상이 아닌 ‘진단 미정’ 또는 ‘질환 의심’이라고 표기했다면 당연히 추가 검사를 받았을 텐데, 4년이 지나서야 말기암 판정을 받은 것이 너무 아쉽다”고 토로했다. 

이희정 한국폐암환우회 이사 역시 비흡연자이면서 폐암 환자다. 이 이사는 지난해 폐암을 진단 받고 현실을 직시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고 설명했다. 이 이사는 “마른 잔기침이 두 달간 지속돼 병원에 갔다가 폐암 4기 진단을 받았다”며 “유방암이나 난소암이라면 납득이 됐을 텐데 담배를 가까이 하지 않는 내가 폐암이라고 하니 청천벽력과 같았다”고 전했다.

이어 “폐암의 증상에 대해 알고 있었다면, 또 조금이라도 빨리 진단을 받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아직도 크다. 현재 완치가 아닌 관해를 목표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며 “폐암은 여성 유병률이 높지만, 다른 여성암에 비해 관련 정보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폐암은 초기 자각 증상이 없는 편이다. 기침, 가래 등 증상이 이어져 병원을 찾으면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다. 

폐암을 진단 받은 국내 비흡연 여성 중 43.4%는 4기 판정을 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폐암은 가족력, 간접 흡연, 미세먼지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라돈 등 방사성 물질이나 주방에서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연기 속 발암물질도 폐암의 원인 중 하나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 들어가시면 됩니다.

폐암 여성 10명 중 9명 ‘비흡연자’…“국가검진으론 못 찾아” [쿠키인터뷰] (kukinews.com)